abstract : 함수형 언어의 타입 시스템, 구성요소, 재귀적 자료구조 등

함수형 언어의 정적 타입 시스템

정적 타입 시스템의 컴파일러는 컴파일 전 코드에 대해 많은 것을 알고 있고 이러한 정보를 이용해 리플렉션, 타입 추론과 같은 고도화 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음

함수형 언어에서는 객체뿐 아니라 표현식도 타입으로 취급함

 

곱 타입과 한계

곱 타입은 하나의 자료구조에 여러 타입을 한번에 정의 하는 것(ex 튜플, 레코드) 두 개 이상의 타입을 AND로 결합한 형태이며 대부분의 언어에서 사용됨

코틀린으로 구현한 레코드의 예

class Circle(val name: String, val x: Float, val y: Float)

곱 타입의 한계

AND로 자료구조간 계층 구조를 표현하려면 상속을 사용해야 하는데, 신규 계층이 추가 될 때 복잡성이 증가하고 else에 대한 처리를 반드시 해야 함

var toggle: Boolean = false

fun main() {

    toggle = true
    toggle = false

    caseLanguageEnum(Language.KOTLIN)
}

interface LanguageInterface

class Java : LanguageInterface
class Kotlin : LanguageInterface
class Scala : LanguageInterface
class Haskell : LanguageInterface

private fun caseLanguageInterface(language: LanguageInterface) = when (language) {
    is Java -> {
        // doSomething
    }
    is Kotlin -> {
        // doSomething
    }
    is Scala -> {
        // doSomething
    }
    else -> {
        throw IllegalArgumentException("invalid type : $language")
    }
}

합 타입을 사용한 OR 결합

합 타입은 곱 타입과 달리 두 개 이상의 타입을 OR로 결합한다. 코틀린은 sealed class를 사용해서 합 타입을 만듬

함수형 프로그래밍에서는 패턴 매칭이 쉽고, 타입의 사이드이펙트(else 처리)를 신경 쓰지 않아도 됨(이는 컴파일 타임에 실수를 미리 예방 할 수 있게 됨)

var toggle: Boolean = false

fun main() {

    toggle = true
    toggle = false

    caseLanguageEnum(Language.KOTLIN)
}

private fun caseLanguageEnum(language: Language) = when (language) {
    Language.JAVA -> {
        // doSomething
    }
    Language.KOTLIN -> {
        // doSomething
    }
    Language.SCALA -> {
        // doSomething
    }
    Language.HASKELL -> {
        // doSomething
    }
}

enum class Language {
    JAVA, KOTLIN, SCALA, HASKELL
}

 

타입의 구성요소

타입 변수

C++의 템플릿 T와 동치

fun <T> head(list: List<T>): T = list.first()

타입 변수를 갖는 함수를 다형 함수(polymorphic function)라 함

값 생성자

타입의 값을 반환하는 것

타입 생성자, 타입 매개변수

새로운 타입을 생성하기 위해 매개변수화 된 타입을 전달 받는 것

인터페이스(interface) vs 트레이트(trait) vs 추상 클래스(abstract class) vs 믹스인(mixin)

인터페이스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 인터페이스는 클래스의 기능 명세

트레이트 인터페이스와 유사하지만, 구현부를 포함한 메서드를 정의 할 수 있음(코틀린의 interface는 trait임)

추상 클래스 상속 관계에서의 추상적인 객체를 모델링 하기 위해 사용, 다중 상속 불가

믹스인 클래스들 간에 어떤 프로퍼티나 메서드를 결합하는 것으로, 재사용성이 높고 유연하며 다중 상속에서 발생하는 모호성을 해결 할 수 있음

interface Developer {
    val language: String

    fun writeCode() {
        println("write $language")
    }
}

interface Backend : Developer {
    fun operateEnvironment(): String {
        return "operateEnvironment"
    }

    override val language: String
        get() = "Haskell"
}

interface Frontend : Developer {
    fun drawUI(): String {
        return "drawUI"
    }

    override val language: String
        get() = "Elm"
}

class FullStack : Frontend, Backend {
    override val language: String
        get() = super<Frontend>.language + super<Backend>.language
}

fun main() {
    val frontend = object : Frontend {}
    val backend = object : Backend {}

    frontend.writeCode()    // write Elm
    backend.writeCode()     // write Haskell

    val fullStack = FullStack()

    fullStack.writeCode()  // write ElmHaskell
    println(fullStack.drawUI())     // drawUI
    println(fullStack.operateEnvironment()) // operateEnvironment
}

 

타입 클래스, 타입 클래스의 인스턴스

하스켈에서 타입의 행위를 선언하는 방법을 타입 클래스라 함 객체지향의 클래스와 유사한 이름이나 다른 것이며 코틀린의 인터페이스와 유사함

  • 행위에 대한 선언
  • 필요시, 행위의 구현부도 포함 가능

타입 클래스와 코틀린의 인터페이스는 다르지만 아래에서 코틀린의 인터페이스를 타입 클래스와 유사한 방법으로 사용할 것임

interface Eq<in T> {
    fun equal(other: T): Boolean = this == other
    fun notEqual(other: T): Boolean = this != other
}

sealed class TrafficLight: Eq<TrafficLight>, Print
object Red: TrafficLight() {
    override fun print() = print("Red")
}
object Yellow: TrafficLight() {
    override fun print() = print("Yellow")
}
object Green: TrafficLight() {
    override fun print() = print("Green")
}

fun main() {
    println(Red.equal(Yellow))     // false
    println(Red.notEqual(Yellow))  // true

    Red.print()     // Red
    Yellow.print()  // Yellow
    Green.print()   // Green
}

 

재귀적 자료구조

sealed class를 사용해 대수적 데이터 타입을 만들어 활용하면, 재귀적 자료구조를 만들 수 있다 앞서 살펴본 FunList가 재귀적 자료구조의 대표적인 예임

대수적 데이터타입에서 구성하는 값 생성자의 필드에 자기 자신을 포함하는 구조를 재귀적인 자료구조라 함

fun main() {
    val reversed = reverse(Cons(1, Cons(2, Cons(3, Nil))), Nil)
    printFunList(reversed)
}

fun <T> reverse(list: FunList<T>, acc: FunList<T>): FunList<T> = when (list) {
    Nil -> acc
    is Cons -> reverse(list.tail, acc.addHead(list.head))
}